이수여부 교육일정 FAQ 문의하기

교육일정

2025
  • 선임교육
  • 보수교육

아래의 달력에서 날짜를 클릭하면 교육일정을 볼 수 있어요.

교육대상 : 의사/방사선사

00

  • 대상자 확인은 관할보건소 문의 부탁드립니다.
  • 마감된 교육대상은 표시되지 않습니다.
  • 교육 시행 기관 안내

교육이수 여부 검색

안전관리책임자는?

알림 아이콘
안전관리책임자는?
  •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를 설치하는 의료기관에서는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 규칙 제3조 및 제10조에 의하여 진단용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를 선임하고 별지 제6호 서식과 구비서류를 준비하여 방사선 관계 종사자 내역과 함께 관할 시 · 군 · 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합니다.
  • 선임된 진단용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는 선임된 날부터 1년 이내에 방사선 분야 관련단체가 실시하는 안전관리책임자 교육(선임교육)을 받아야 하며, 주기적으로(3년마다) 보수교육을 받아야 합니다.

책임자 업무

업무 흐름도

선임 / 해임 교육 교육수요 조사 보고 신고 점검 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 안전관리책임자 교육기관 교육기관 지정 / 교육계획 승인 의료기관 개설자 / 관리자 (안전관리규칙 제10 제12조) 시장 · 군수 · 구청장 방사선안전관리책임자 (직무 : 안전관리규칙 제11조) 질병관리청장
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 안전관리책임자 교육기관 교육기관 지정 / 교육계획 승인 의료기관 개설자 / 관리자 (안전관리규칙 제10 제12조) 방사선안전관리책임자 (직무 : 안전관리규칙 제11조) 시장 · 군수 · 구청장 질병관리청장 선임 / 해임 교육 교육수요 조사 신고 점검 보고
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 신고 의료기관 개설자 / 관리자 (안전관리규칙 제10 제12조) 시장 · 군수 · 구청장 점검 선임 / 해임 교육수요 조사 보고 방사선안전관리책임자 (직무 : 안전관리규칙 제11조) 질병관리청장 교육 안전관리책임자 교육기관 교육기관 지정 / 교육계획 승인

진단용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의 직무, 교육, 기록 보존 등 의무

직무
  • 안전관리업무의 계획·점검 및 평가
  • 소속 방사선 관계 종사자에 대한 자체교육훈련의 실시
  • 환자 및 방사선 관계 종사자에 대한 방사선피해로부터의 방어조치
  • 진단 영상정보 관련 설비의 안전관리
  • 피폭선량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소속 변동사실의 측정기관에의 통보
  •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피폭선량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피폭선량계의 파손 및 분실사실의 측정기관에의 통보
  • 제3조제1항 및 제4항에 따른 신고와 제4조에 따른 검사 또는 측정에 관한 사항
  • 제14조에 따른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, 방사선 관계 종사자 및 방사선 방어시설 (이하 "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등"이라 한다)에 관한 서류의 작성·비치 및 보존에 관한 사항
교육

진단용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로 선임된 사람은 선임된 날부터 1년 이내에 질병관리청장이 지정하는 방사선 분야 관련 단체가 실시하는 안전관리책임자 교육(선임교육)을 받아야 하며, 주기적으로(3년마다) 보수교육을 받아야 합니다.

[참고 - 질병관리청고시 제2021-5호 「진단용 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에 대한 교육 및 교육기관 지정」 제2조(안전관리책임자 교육) (2021.07.23.)]

제2조(안전관리책임자 교육)

① 「의료법」 (이하 “법”이라 한다) 제37조제3항에 따른 안전관리책임자 교육은 각 호와 같이 구분한다.
  • 1. 선임교육 : 법 제37조제2항에 따라 안전관리책임자로 선임된 사람(이하 “안전관리책임자”라 한다)이 선임된 날부터 1년 이내에 처음으로 받는 안전관리책임자 교육
  • 2. 보수교육 : 안전관리책임자가 제1호의 선임교육을 이수한 후 해임되기 전까지 전문성과 자질 향상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받는 안전관리책임자 교육
② 제1항에 따른 교육은 법 제37조제3항에 따라 질병관리청장(이하 "청장"이라 한다)이 지정하는 안전관리책임자 교육기관(이하 "교육기관"이라 한다)에서 실시한다.
③ 안전관리책임자는 법 제37조제3항에 따라 선임된 날부터 1년 이내에 선임교육을 받아야 하고, 그 후에는 2년(선임교육을 이수한 날부터 기산하여 3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해의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)마다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.
기록 보존

의료기관 개설자 또는 관리자가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 등에 대해 작성하고 비치·보존하여야 할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.

작성기관 기록사항 보존기간
의료기관의 개설자
또는 관리자
1.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사용기록(환자의 성명, 성별, 연령, 촬영부위 또는 촬영명칭) 5년
2. 제4조 및 제8조에 따른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피폭선량 측정과 제13조에 따른 방사선 관계 종사자에 대한 건강진단에 관한 사항 해당 종사자 퇴직때까지
(퇴직 시 당사자에게 발급한다)
3.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검사성적서 및 장치 점검기록(수리명세서 및 관련 자료를 포함한다) 해당 장치의 철거 후 1년
4. 방사선 방어시설 검사성적서(차폐벽 두께 및 재료명을 표시한 설계도를 포함한다) 해당 시설의 철거 후 1년
5. 방사선 관계 종사자 현황(성명, 성별, 연령 및 의료인 등 종별) 5년
6.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설치 및 사용신고증명서 해당 장치 및 시설 철거 후 1년
이메일무단수집거부
본 웹 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
  •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법률
    제50조의 2
    (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)
이수증 재발급